
비정상 거처 이주 지원 버팀목 대출(5천만원까지 무이자)
🏠 비정상 거처 이주 지원 대출
🔎 누가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
다음 조건에 해당하신다면 비정상 거처 이주 지원 대출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대출 대상
거주 형태: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며 최소 3개월 이상 거주해야 합니다.
- 쪽방
- 고시원
- 지하층
- 비닐하우스
- 노숙인 시설 등
가족 구성: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환경에서 만 18세 미만의 아동과 함께 거주하는 가족 소득 기준: 부부 합산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자산 기준: 순자산 3억 6,100만 원 이하 세대주 여부: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주거취약계층 주거지원 업무처리지침」 제3조 제1항 제1호와 제3호에 해당 신청일 현재 3개월 이상 거주 중인 무주택 세대주
💰 얼마나 빌릴 수 있나요? (대출 한도) 💰 대출 금리
연 0% (5천만원 한도) 연 1.2 ~ 1.8% (5천만원 초과)
🏡 대출 한도
(공공임대주택) 보증금 50만원 (민간임대주택) 보증금 8천만원
⏳ 대출 기간
(공공임대주택) 2년 (9회 연장 가능, 최장 20년 이용) (민간임대주택) 2년 (4회 연장 가능, 최장 10년 이용)
📝 어떤 집으로 이사할 수 있나요? (대출 조건)
대출을 받아서 이사할 수 있는 주택에도 조건이 있습니다.
임차보증금: 2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약 25.7평) 이하 단, 1인 가구는 18평 이하
🗓️ 언제까지 갚아야 하나요? (대출 기간)
대출 기간은 2년 만기이며, 최장 10년까지 연장이 가능합니다.
📑 신청하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할까요? (필수 서류)
신청 시 다음과 같은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등본 임대차 계약서 (이사할 집) 소득 증빙 서류 (소득금액증명원 등) 자산 증빙 서류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등) 기타 은행에서 요구하는 서류 ※ 주의: 정확한 필요 서류는 은행 상담 시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신청 절차)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 발급: 먼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를 발급받습니다.
- 은행 상담: 발급받은 확인서를 지참하고 아래 대상 은행 중 한 곳을 방문하여 대출 상담을 받습니다.
- 우리은행
- 국민은행
- 농협
- 신한은행
- 하나은행
🚚 이사 비용도 지원해 주나요? (이사비 지원)
네, 대출이 통과되면 이사비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최대 40만 원 한도 내에서 실제 지출한 비용을 지원하며, 이사 후 증빙 서류를 제출하여 청구하는 방식입니다.
📝 진행 후기 - 비정상거처이주지원 버팀목 대출
대출에 대한 첫인상과 정보 탐색
비정상거처이주지원버팀목 대출이라고 되어있는데 비정상거처 라는 말 때문에 부정적인 어감이 있어서 그런지 처음에는 제가 받을 수 있는 대출인지 의심이 들었습니다. 마침 고시원에 살고 있었어서 자세히 알아보는데 제대로 된 후기가 많이 없는 것 같아서 제 후기를 남깁니다.
1단계: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 발급 과정
우선 고시원을 3개월 이상 살아야 하고 조건을 만족한 후 근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를 방문하면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를 발급받으러 왔다고 하니까 못 알아들으시더라구요. 다른 행정복지센터에도 전화해보고 하시더니 20분을 기다렸습니다. 알고 보니까 행정복지센터에 번호표 뽑고 복지과에 말씀드려야 되는 거였습니다. 복지과에 말씀드리면 그분들이 제 고시원에 찾아와서 제가 실제로 살고 있는지 사진도 찍고 그 자리에서 제 사인도 받아갑니다. 그리고 이메일로 따로 제출드린 것이 고시원 계약서와 고시원 월세 3개월 입금 내역이 필요했습니다. 복지과 분들 사진 찍는 것은 그분들이 안 바쁘실 때로 따로 예약을 잡았습니다. 고시원 방 확인하고 나서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를 주셨습니다.
비정상거처거주확인서 는 이렇게 생겼습니다.

행정복지센터 복지과 분들이 나와서 제 고시원 사진을 찍어가셨습니다.



2단계: 은행 상담 전 준비 사항
자 이제 비정상 거처 거주 확인서를 받았고 본격적으로 은행 상담을 받으려고 했습니다. 근데 그전에 제가 살 집을 먼저 정하고 나서 그 집의 등기부등본을 같이 가져가면 그나마 대출 접수는 아니더라도 관련된 설명을 잘 들을 수 있습니다.
대출의 주요 제한 사항: 공공임대 vs. 민간임대
비정상 거처 이주지원 버팀목 대출은 공공임대, 민간임대 로 된 건물만 대출이 가능한 것이 최대 단점입니다. 그런데 저는 공공임대는 50만원 대출, 민간임대는 최대 80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저는 민간임대와 일반 건물의 차이를 잘 몰라서 한참 찾아봤는데 민간임대 건물은 렌트홈 이라는 사이트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집 구하기 팁
저는 네이버부동산(지금은 네이버페이앱 에서 네이버부동산), 직방을 주로 봤습니다. 네이버부동산은 매물이 많지만 사진이 없는 건물이 많고 직방은 무조건 사진이 있어서 2개를 같이 봤습니다. 최대 8000만원이라 정말 많은 원룸과 오피스텔을 뒤졌습니다. 그중에서 민간임대 인 방을 찾아야 되기 때문에 더더욱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부동산에 전화해서 민간임대 인지 물어봐도 되지만 렌트홈으로 다 쳐봤습니다. 아 그리고 여기서 방을 찾을 때 팁은 대출이 된다고 설명에 안 적혀 있으면 안 되는 곳일 확률이 95% 이상이고 lh 대출 보증 가능 이라고 써놓은 곳은 희귀매물입니다. lh 대출이 된다는 건 hug 보증이 될 확률이 매우 높아서 100% 8천만원까지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근데 요즘에는 경기가 힘들어서 80%만 대출해줘도 감사하는 분위기가 된 것 같습니다.


3단계: 은행 상담 경험
어렵게 방을 구해서 우선 등기부등본을 떼고 은행을 찾아갔습니다. 우리은행 국민은행 농협 신한은행 하나은행 다 찾아갔습니다. 농협에서는 대출 직원이 2명인데 직접 방을 보러가야 될 경우도 있는데 너무 바빠서 다른 은행에서 하시는게 어떻겠느냐 라고 해서 신한은행을 갔습니다. 신한은행에서는 비정상거주 이주지원 버팀목 대출이란 것을 처음 들어본다 알아보고 나서 전화드리겠다. 하고 나서 그 이후로 아무 연락이 없었습니다. 국민은행을 가니 여기 은행에서도 처음 듣는다고 말하고 제가 준비한 비정상거처거주확인서와 등기부등본 외에 필요 서류들을 보고는 전반적인 버팀목 대출 상담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하나 은행에서는 제일 친절하게 하나 하나 다 설명을 해주셨고 대략적으로 다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이 대출은 정부에서 자금이 다 소진되었으면 지금 진행 안 할 수도 있다고 하여서 기다렸습니다.
계약 전 확인 사항
결과적으로 2023년 4월부터 시작된 대출이지만 24년 12월 까지도 대출이 진행되고 있고 그건 해가 넘어간 2025년 지금도 마찬가지 입니다. 여차저차해서 부동산에서 임대차계약을 진행하기 전에 내집스캔이라는 어플을 통해서 혹시라도 건물에 이상이 있는지 소액결제 1회를 해서 확인을 했고 등기부등본도 인터넷에서 뽑아서 확인도 하고 최종적으로 부동산에서 임대차계약을 했습니다.

요즘에는 표준임대차계약서 로 계약을 한다고 합니다.
최종 계약 및 대출 실행 결과
저는 빌라를 계약했는데 빌라 건물이 공시지가로는 24억이고 등기부등본에는 6억 정도의 빚이 존재했고 뭐 여러 가지로 최종적으로 심사를 봐서 대출이 실행이 될지 안 될지 알 수 있다고 해서 무작정 기다렸습니다. 계약 당시 제 건물은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보증이 가능한 건물이었는데 집주인이 hug 보증을 하게 되면 귀찮은 곳에서 많은 전화가 오고 그래서 hf(한국주택금융공사) 보증을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80% 대출을 받았고 저는 총 7000만원에 22만원 월세라서 5600을 대출을 받았고 나머지 1400은 제 돈을 주고 대출 실행을 하였습니다.
제일 중요한 것은 입주 후 전입 신고 와 확정 일자 신고 (행정복지센터) 필수
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저는 집주인을 계약 후 까지도 만나지 못했는데 부동산에서 대리인 자격으로 계약을 대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는 잘 몰랐는데 뒤늦게라도 집주인과 부동산과의 관계를 정확히 보기 위해서 위임장, 대리인선임계, 집주인의 인감증명서, 집주인의 신분증 사본을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일상 이슈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고민 해결할 효능별 식품 & 영양소 가이드 (0) | 2025.03.30 |
---|---|
건강 장수 매일 실천하는 건강 습관 14가지 (돈 안 드는 비결) (0) | 2025.03.23 |
일상 여행 -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도자기 전시회 구경 (0) | 2025.03.15 |
압축파일 tar, tar.gz, zip 압축 및 압축 해제 명령어(cmd) (0) | 2024.02.05 |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이자율 최대 4.5%, 꼭 들어야 하는 청약통장 (0) | 2024.02.02 |